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

by 신나는파티피플 2025. 7. 10.

꼬리치레도롱뇽은 우리나라 고산지대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입니다. 개체 수 급감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처한 이 도롱뇽의 생태적 특징과 보존 노력에 대해 알아봅니다.

꼬리치레도롱뇽이란?|고산 습지에 사는 특별한 도롱뇽

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
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
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cheri)은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양서류로,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특히 해발 900~1,200m 이상의 고산지역 계곡이나 습지, 냉수성이 강한 맑은 물에서만 서식하는 극도로 제한된 환경조건을 갖고 있어, ‘살아있는 고산 생태계의 지표’로도 불립니다.

이 도롱뇽은 보통 몸길이 13~16cm 정도이며, 어른 개체는 갈색 또는 회색 계열의 등 색과 얼룩무늬를 갖고 있어 주변 환경과 매우 잘 위장됩니다. 이름의 유래는 '꼬리를 흔들며 이동하는 습성'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산란기와 이동 시기에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멸종위기 1급 지정 이유|급격한 서식지 파괴와 수질 악화

꼬리치레도롱뇽은 그 서식지가 한정되어 있는 만큼 기후변화, 무분별한 개발, 산림 훼손, 생태계 교란종 유입 등에 의해 서식지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주요 서식지인 지리산, 가야산, 덕유산, 설악산 등 고산지대에서도 수온 상승과 하천 개발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2012년 환경부 조사를 기준으로도, 한때 30개 지역에서 서식하던 개체가 현재는 20개 미만의 지역</strong에서만 관찰되고 있으며, 번식 개체군도 매우 소수인 상태입니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생태|알에서 성체까지 3~4년이 걸리는 느린 성장

꼬리치레도롱뇽은 보통 4~6월 사이 산란을 하고, 암컷은 물속 돌 틈에 젤리 형태의 알을 낳습니다. 이 알은 수온이 낮은 환경에서 한 달 이상 부화 기간을 거치며, 부화된 유생은 3~4년 동안 물속에서 성장해야만 성체가 됩니다.

이처럼 장기간의 수생 유생기는 도롱뇽 개체 수 유지에 큰 제약이 되며, 조그만 환경 변화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고산 습지의 수온이 상승하면서, 알의 부화율과 유생의 생존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보호 활동과 보전 방안

① 국립공원 내 보호구역 확대

국립공원공단과 환경부는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특별보호구역을 설정해 도롱뇽 서식지의 훼손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계곡 주변에서 탐방객 출입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도 취하고 있습니다.

② 인공 증식 연구 및 서식지 복원

2022년부터는 국립생태원을 중심으로 인공부화 및 유생 사육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자연 방사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술적 난이도와 환경 변수 등으로 인해 성과는 제한적입니다.

③ 시민과 함께하는 모니터링

최근에는 시민 과학자들과 함께하는 꼬리치레도롱뇽 모니터링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 학생, 연구자들이 자발적으로 서식지 변화나 도롱뇽 출현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보존 데이터를 축적 중입니다.

꼬리치레도롱뇽 보존, 왜 중요한가?

꼬리치레도롱뇽은 국내 고산 생태계의 핵심 지표종으로, 이들의 생존은 곧 고산 지역의 생태 건강성을 나타냅니다. 이 작은 양서류의 멸종은 단순한 생물 하나의 소멸이 아닌, 국내 고산 습지 생태계 전체의 붕괴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특히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는 수질 오염과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생태계 변화의 조기 경고자로서의 의미도 큽니다. 꼬리치레도롱뇽을 지키는 일은 곧 우리 환경을 지키는 일입니다.

맺음말|조용히 사라지고 있는 고산 생명체

우리가 평소 관심 갖지 않으면 영영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를 생명체, 바로 꼬리치레도롱뇽입니다. 멀게만 느껴지는 고산 계곡에 살고 있지만,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꼬리치레도롱뇽을 위한 보전 노력이 단지 동물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후손에게 건강한 자연을 물려주는 일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앞으로도 블로그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멸종위기종들을 계속 조명하며,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합니다.

 

2025.07.09 - [분류 전체보기] - 맹꽁이를 지켜야하는 이유와 보호법

 

맹꽁이를 지켜야하는 이유와 보호법

맹꽁이는 도심 주변에서도 서식하는 대한민국 고유 양서류로,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도시개발과 기후 변화로 위기에 처한 맹꽁이의 생태적 가치와 보호 방안을

knymm.com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붉은배새매, 숲의 그림자 위를 나는 마지막 맹금|멸종위기 야생조류 이야기

 

붉은배새매, 숲의 그림자 위를 나는 마지막 맹금|멸종위기 야생조류 이야기

붉은배새매는 천연기념물 제323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조류 Ⅰ급으로 지정된 귀중한 맹금류입니다. 산림 생태계 지표종으로서의 생태적 가치와 멸종 위기 원인, 보호 방안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knym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