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부지정2

2025 멸종위기 동물|북방산개구리, 봄을 깨우는 논두렁의 수호자 논두렁과 습지에서 서식하며 우리 농촌 생태계를 지켜주는 북방산개구리. 202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이 종의 특징과 보호 필요성, 생태적 가치에 대해 살펴봅니다. 북방산개구리란?|논과 숲 사이에 사는 우리 토종 개구리북방산개구리(Rana amurensis)는 한반도 중북부, 러시아 연해주, 만주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냉대성 양서류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경기도 북부, 강원도, 충청북부에 분포하며, 최근 들어 남부 지역에서도 일부 개체가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논, 습지, 작은 하천, 이끼 낀 숲 같은 수변 생태계에 밀접하게 연관된 종으로, 옛날부터 농촌 사람들에게 익숙한 '논두렁 개구리'로 불려왔습니다.몸길이는 평균 5~7cm 정도이며, 전체적으로 갈색~회갈색의 등 쪽에 짙은 갈색 .. 2025. 7. 10.
2025 멸종위기 동물|꼬리치레도롱뇽, 한국 고산습지의 마지막 수호자 꼬리치레도롱뇽은 우리나라 고산지대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입니다. 개체 수 급감과 서식지 파괴로 위기에 처한 이 도롱뇽의 생태적 특징과 보존 노력에 대해 알아봅니다.꼬리치레도롱뇽이란?|고산 습지에 사는 특별한 도롱뇽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cheri)은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양서류로,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특히 해발 900~1,200m 이상의 고산지역 계곡이나 습지, 냉수성이 강한 맑은 물에서만 서식하는 극도로 제한된 환경조건을 갖고 있어, ‘살아있는 고산 생태계의 지표’로도 불립니다.이 도롱뇽은 보통 몸길이 13~16cm 정도이며, 어른 개체는 갈색 또는 회색 계열의 등 색과 얼룩무늬를 갖고 있어 주변 환경과 매우 잘.. 2025.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