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동물 감돌고기|한강에서 사라지는 민물고기의 경고
감돌고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된 한국 고유종 민물고기입니다. 한강과 임진강 수계에서만 서식하며, 현재는 불법 어획, 수질오염, 외래종 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감돌고기의 생태적 의미와 보호 정책, 복원 시범 사업까지 정리했습니다. 감돌고기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민물고기이자, 한국 고유종입니다. 오직 한반도의 일부 하천, 특히 한강과 임진강 수계에서만 서식하던 이 물고기는 하천 개발, 수질오염, 댐 건설 등으로 급속하게 그 수가 줄어들며 현재는 절멸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지금 이 순간에도 감돌고기의 서식지는 줄어들고 있으며, 어쩌면 우리 아이들이 자랄 미래에는 교과서 속에서만 보게 될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이 감돌고기의 생태, 멸종 원인, 보호 정책에 대해 ..
2025. 7. 13.
2025 멸종위기 동물|북방산개구리, 봄을 깨우는 논두렁의 수호자
논두렁과 습지에서 서식하며 우리 농촌 생태계를 지켜주는 북방산개구리. 202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이 종의 특징과 보호 필요성, 생태적 가치에 대해 살펴봅니다. 북방산개구리란?|논과 숲 사이에 사는 우리 토종 개구리북방산개구리(Rana amurensis)는 한반도 중북부, 러시아 연해주, 만주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냉대성 양서류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경기도 북부, 강원도, 충청북부에 분포하며, 최근 들어 남부 지역에서도 일부 개체가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논, 습지, 작은 하천, 이끼 낀 숲 같은 수변 생태계에 밀접하게 연관된 종으로, 옛날부터 농촌 사람들에게 익숙한 '논두렁 개구리'로 불려왔습니다.몸길이는 평균 5~7cm 정도이며, 전체적으로 갈색~회갈색의 등 쪽에 짙은 갈색 ..
2025. 7. 10.